|
한의학의 전망 |
 |
글쓴이 : 관리자 |
2006-07-05 |
|
|
|
한의학의 전망 한의학의 전망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먼저 서양의학에 관하여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약 100여 년 전 서양 문물이 우리나라에 쏟아져 들어오기 전까지는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구별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서양의학이라 말할만한 자체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 서양의학이 우리나라 의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병원성 세균의 발견과 그에 따른 항생물질의 개발, X-ray의 발견과 임상에의 응용, 그리고 다수의 현대 과학적 발명들이 바탕을 이루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몇 천 년을 내려온 한의학에 비하면 이러한 발견과 발명들은 역사가 100년 남짓밖에 되지 않는다.
서양 세계가 물질문명을 바탕으로 위세를 크게 떨치는 것에 비하여 동양 세계는 초라하다고 할 만큼 낙후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근대화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강력하게 추진되었던 폐쇄 정책 때문에 우리나라는 특히 근대화에서 낙오되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순간의 잘못된 선택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20세기가 끝나고 21세기 초입에 들어선 현재, 서양의학은 그 거대한 규모와 조직적으로 세분화된 체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물질 문명에 기반을 두었다는 상황 때문에 한계점에 부딪치고 있다. 때문에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서양의학의 만능(萬能)에 대해 의심을 품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이제까지 주변시 해왔던 동양의학, 즉 한의학을 대안으로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이는 매우 주목할만한 사실이나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대안(代案)"이라는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한의학이 아직까지는 서양의학에서 모자란 미비점이나 문제점을 보완하는데 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의학 관련 종사자들이 부단히 노력하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기만 하면 세계 무대에 내놓을 수 있는 자랑스러운 문화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한의학은 역사와 전통의 의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경험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뜻이다. 한의학이 서양의학과 다른 점은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의학이 하루가 다르게 옛것을 버리고 새것을 받아들이는데 비하여, 한의학은 수백 수천 년 전의 원리와 방식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 점은 언뜻 보면 고리타분하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 원리와 방식은 "변할 수밖에 없는 시대와 환경의 가변성"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인간 생리의 본질과 대자연과의 상관성, 그리고 고정불변의 정체성(正體性)"에 바탕을 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와 환경을 뛰어넘어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서양의학이 자체의 한계를 드러내는 이 시점에서 한의학은 단순히 대안으로서의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동·서양 인류의 건강을 증진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도 이같이 귀한 유산을 홀대하고 무시하는 경향이 많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한의학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주기를 바랄 뿐이다. 흔히들 21세기는 지식과 정보의 세기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런 지식과 정보세의 세기에서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풍부한 자원은 오직 사람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을 생각할 때 세계 무대에서 널리 활약할 수 있고 세계인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우리 고유의 한의학을 국가 차원에서 발굴·개발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다. 우리나라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한의학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의학이 학교 교육을 통하여 자라나는 세대와 현직에 있는 교사들에게 중요한 의학으로 새롭게 인식되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의사들의 의료 봉사 활동]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아도 한의학의 효용성은 크게 두드러진다. 서양의학은 얼핏 보기에 저렴하면서도 범위가 넓고 또한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드는 비용은 매우 막대하다. 또한 부작용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시스템을 보완하고 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도 한다.
[한의사들의 해외 의료봉사 활동 장면]
그에 비하여 한의학은 적용 범위가 좁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듯하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질병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단순한 상태가 아닌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한의학은 매우 중요하다. 한의학의 골간을 이루고 있는 동양학과 한국학은 교사가 학생들을 교육할 때 의료외의 장점을 발휘하는데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모든 생활 방식이나 의식이 서양의 것에 편중된 우리의 의식 구조를 우리 것으로 돌려서 균형을 맞추고 보다 주체적인 의식을 갖게 하는데 한의학이 커다란 보탬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바야흐로 세계는 국제화로 인해 하나가 되고 있으나 동시에 지역적인 특색 또한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세계화다 하여 모든 것이 같아지는 것 같으면서도 각국 고유의 특색과 장점을 자산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만약 우리 문화 유산 중에서 가장 한국적인 것 몇 가지를 예시하라면 무엇보다도 한의학이 열 손가락 안에 들 것이 틀림없다. 그만큼 한의학은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기에 오늘날 우리가 한의학을 올바로 인정하고 제대로 대접할 때 한의학은 더욱 밝은 빛을 비출 것이다.
|
|
|
|
|
|